목장나눔

희생제사 드리기 (1)

작성자
NH
작성일
2022-01-22 20:28
조회
338
희생제사의 원칙
희생 제사는 하나님이 지정한 장소에서 하나님이 지정하신 방법에 따라 드려야 유효했습니다. 그런 점에서 희생제사는 전적으로 하나님께 속한 의식이었습니다.
희생제사의 세 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첫째, 희생제물은 제사를 드리는 자에게 속한 것이어야 합니다.
둘째, 희생제물은 흠이 없어야 합니다. 유대 문헌인 <미쉬나>는 흠이 없는 제물에 대하여 73가지 항목을 들어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.
셋째, 피 없이 드리는 제사인 소제(meal offering)에 누룩과 꿀이 섞이면 안됩니다. 이는 누룩과 꿀이 각각 발효와 부패를 상징하기 때문입니다.

희생제물로 바치는 동물들
네 발 달린 동물 가운데서 소, 양, 염소만을 희생제물로 드렸습니다. 아울러 산비둘기(또는 집비둘기)를 드릴 수 있었는데, 산비둘기는 동물을 바칠 수 없는 가난한 자를 위해 대체물로 사용되었습니다.

희생제사의 행위
번제단에서 드리는 희생제사는 제물을 바치러 온 사람이 하는 행위와 제사장이 하는 행위가 엄격하게 구별되었습니다. 번제단 위에서 하는 모든 행위는 제사장에게만 허락 되었는데, 이는 번제단에 올라간 것은 모두 거룩해지고 다시 꺼낼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. "맹인들이여 어느 것이 크냐 그 예물이냐 그 예물을 거룩하게 하는
제단이냐 *그러므로 제단으로 맹세하는 자는 제단과 그 위에 있는 모든 것으로 맹세함이요 *또 성전으로 맹세하는 자는 성전과 그 안에 계신 이로 맹세함이요 *또 하늘로 맹세하는 자는 하나님의 보좌와 그 위에 앉으신 이로 맹세함이니라" (마 23:19-22절)
전체 0

전체 795
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
공지사항
코로나19 사태를 이길 1.1.9 기도제목
NH | 2020.04.04 | 추천 0 | 조회 8487
NH 2020.04.04 0 8487
794
번제, 속죄제, 속건제, 화목제, 소제(3)
NH | 2023.11.25 | 추천 0 | 조회 11
NH 2023.11.25 0 11
793
번제, 속죄제, 속건제, 화목제, 소제(2)
NH | 2023.11.18 | 추천 0 | 조회 21
NH 2023.11.18 0 21
792
희생제사(7)
NH | 2023.11.11 | 추천 0 | 조회 35
NH 2023.11.11 0 35
791
희생제사(6)
NH | 2023.11.04 | 추천 0 | 조회 44
NH 2023.11.04 0 44
790
희생제사(5)
NH | 2023.10.28 | 추천 0 | 조회 40
NH 2023.10.28 0 40
789
희생제사(4)
NH | 2023.10.21 | 추천 0 | 조회 47
NH 2023.10.21 0 47
788
희생제사(3)
NH | 2023.10.14 | 추천 0 | 조회 59
NH 2023.10.14 0 59
787
희생제사(2)
NH | 2023.10.07 | 추천 0 | 조회 69
NH 2023.10.07 0 69
786
희생제사(1)
NH | 2023.09.30 | 추천 0 | 조회 71
NH 2023.09.30 0 71
785
제사장의 직무(6)
NH | 2023.09.23 | 추천 0 | 조회 74
NH 2023.09.23 0 74